음향 |
- 스태프회의 시 사전에 음향 계획서(PLAN)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- 음향디자인 및 셋업에 필요한 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유선 마이크 및 무선 마이크를 5채널이상 사용할 때에는 설치 및 전환 진행인을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|
|
영상 |
- 녹화, 프로젝터 사용 (예지당, 연악당 공통)
- 녹화의 화면구도는 전체화면이며 해상도는 DVD해상도(SD급)가 기본 다른 구도의 녹화를 원하거나 높은 해상도를 원하시면 녹화장비와 조작인력을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프로젝터 사용 시 조작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전광판 사용
- 기본 제목만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시는 자막연출이 있는 경우 조작인력(파워포인트 가능자)과 자막파일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소극장: 타이틀 JPG파일( 720 * 486 ) - 대극장: 타이틀 JPG파일( 1920 * 1080 )
|
|
조명 |
- 스태프회의 시 사전에 조명 계획서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- 조명디자인 및 셋업에 필요한 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드라이아이스 효과 사용 시 드라이아이스 및 조작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무빙라이트와 팔로우 스포트라이트 사용 시 조작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|
|
무대기계 |
- 스태프회의 시 사전에 무대기계 사용 계획서(큐시트)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- 사용 가능한 무대기계
- 대극장
장치바튼 23대, 끌막 4대, 배경막, 전, 후 영사막, 검정막 연주승강, 보조승강6대, 주승강 3대, 측면이동무대 3대, 후무대, 회전무대
- 소극장
장치바텐 5대, 끌막 2대, 배경막, 검정막
|
|
무대장치 |
- 무대 배경막은 아래 배경막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.
- 무대 배경막 대여 시 작업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대극장: 근정전, 일월오악도, 십장생도, 농촌(봄‧가을), 산수화, 팔각문틀(3조), 흑막, 영사막
- 소극장: 궁전막, 농촌(가을), 산수화, 발, 사군자(틀), 흑막
- 망사막은 백색, 흑색 각 1개씩 준비되어 있습니다.
- 무용매트는 검정색, 연회색이 있습니다.
- 무용매트 사용 시 소요되는 인력 및 접착테이프는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무용매트 수량은 대극장 11롤(오케스트라피트 제외), 소극장 6롤
- 접착테이프는 대극장 14개, 소극장 8개(길이 30m × 폭 50mm) 소요 됩니다.
|
|
소도구 |
- 병풍은 1틀 당 6폭으로 되어있으며, 1식(종류)은 4틀(24폭)로 되어 있습니다.
【동래별곡 글씨병풍(연폭) 1식(3틀), 사군자병풍 1식(4틀), 화조도병풍 1식(4틀)】
- 대관자의 부주의로 인한 병풍 파손 시 변상조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
- 돗자리는 1장을 기준으로 사용료를 부과합니다.
- 병풍, 돗자리 설치 및 전환, 사후정리 진행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관현악용 의자, 보면대 는 무료로 사용가능하며 설치 및 전환, 사후정리 진행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|
|
악기 |
- ‘편종’, ‘편경’은 16음률 1틀로 대여 합니다.
- 대고는 북과 받침대를 포함하여 대여 합니다.
- 악기채(각퇴, 대고채)는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- 악기설치 및 전환, 사후정리 진행인력은 대관자 측에서 준비합니다.
|
|
촬영 |
- 국악원 자체 촬영시스템이 아닌 방송 및 외부 촬영팀을 원하는 경우 대관자측에서 장비와 인력을 준비합니다.
- 오디오 음원은 국악원 음향팀과 별도 협의하시기 바랍니다.
- 외부 촬영팀에서 국악원의 중계 판넬을 사용하시면 정해진 사용료 부과 합니다.
|
|
매표 |
- 관람권(좌석권) 신청사항이며, 신청시 대관자 측에서 부담합니다.
|
|